10천간 12간지 순서 및 60갑자(육십갑자) 표 만드는 원리
- 생활Tip
- 2020. 5. 26. 21:40
육십갑자는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천간지지입니다. 천간은 하늘의 기운, 지지는 땅의 기운을 뜻하며, 사주팔자나 신년운세를 볼 때 이용합니다. 그리고 새해가 시작하면 '검은 용의 띠'라는 식의 표현도 60갑자로부터 나오는 것인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60갑자가 만들어지는지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0천간(天干)
우리가 보통 사회에서 자주 듣는 '갑을관계'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 갑과 을이 10천간 중에 있는 글자들입니다. 10천간의 순서는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申) · 임(壬) · 계(癸)입니다. 그리고 10천간은 글자마다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 초록색 : 갑(甲), 을(乙)
- 붉은색 : 병(丙), 정(丁)
- 노란색 : 무(戊), 기(己)
- 하얀색 : 경(庚), 신(申)
- 검은색 : 임(壬), 계(癸)
2023년을 계묘(癸卯)년이라고 하는데, 이때 계(癸)는 검은색을 나타내고,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여 '검은 토끼의 해'라고 부르는 원리입니다.
12지지(地支)
십이지신이란 땅을 지키는 열두 신장이며 방위와 시간을 맡아보는 관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시대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쓰이고 있는데요. 십이지신을 동물로 나타낸 이유는 신의 대리자인 동물신을 모시기 위한 고대의 체계적인 종교활동 때문이었습니다.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쥐 · 소 · 호랑이 · 토끼 · 용 · 뱀 · 말 · 양 · 원숭이 · 닭 · 개 · 돼지
십이지신 순서는 한 번쯤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12마리 동물을 나타내며, 예로부터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지을 때 씨를 뿌리고 추수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열두 달로 나누어 표현하여 시간의 개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해시계에는 시간을 가리키기 위해 12지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0 갑자 표
위에서 알아본 10천간과 12지지를 순서대로 하나씩 연결시키면 총 60개의 조합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10간과 12지의 첫 글자인 '갑'과 '자'의 조합은 '갑자'가 되고 그다음 글자는 '을축'이 됩니다. 그렇게 나가다 보면 10간의 마지막 글자인 '계'는 12지지의 10번째 글자인 '유'와 합쳐져 '계유'가 됩니다.
그렇게 계속해서 조합하다 보면 10간은 처음으로 돌아가서 '갑'과 12지지의 '유' 다음인 '술'이 합쳐져 '갑술'이 됩니다. 그렇게 계속해서 순서대로 진행하게 되면 60번째 단어는 '계해'가 되어 모두 한 바퀴를 돌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갑자부터 순서대로 진행이 되는 원리입니다.
< 60 갑자 >
갑자년, 을축년, 병인년, 정묘년, 무진년, 기사년, 경오년, 신미년, 임신년, 계유년
갑술년, 을해년, 병자년, 정축년, 무인년, 기묘년, 경진년, 신사년, 임오년, 계미년
갑신년, 을유년, 병술년, 정해년, 무자년, 기축년, 경인년, 신묘년, 임진년, 계사년
갑오년, 을미년, 병신년, 정유년, 무술년, 기해년, 경자년, 신축년, 임인년, 계묘년
갑진년, 을사년, 병오년, 정미년, 무신년, 기유년, 경술년, 신해년, 임자년, 계축년
갑인년, 을묘년, 병진년, 정사년, 무오년, 기미년, 경신년, 신유년, 임술년, 계해년
요즘은 평균 수명이 길어져서 환갑을 잘 챙기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환갑이란 60년이 지난 후, 61년째 다시 갑이 돌아와서, 태어난 해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미년에 태어났다면 한 바퀴를 돌고서 61세 생일에 다시 기미년이 돌아오는 것입니다.
여기서 국사 공부 시 중요한 팁을 하나 알려드리자면, 10간을 이용하여 사건이 일어난 해의 끝자리 숫자를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갑(4) · 을(5) · 병(6) · 정(7) · 무(8) · 기(9) · 경(0) · 신(1) · 임(2) · 계(3)가 되며, 임진왜란은 '임'이기 때문에 해당 연도의 끝자리는 2가 됩니다. 실제 임진왜란이 일어난 연도는 1592년입니다.
조선시대 청나라와의 전쟁인 병자호란은 1636년, 임오군란은 1882년 그리고 한일 합병인 경술국치는 1910년 등 사건 이름을 통해 사건이 발생한 해당 연도를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10간 및 12지의 순서와 60 갑자 표가 만들어지는 기본 원리 및 연도 계산을 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알고 있으면 앞으로 매년 새해에 무슨 해라고 부르거나 역사 공부를 하든 사주를 공부하든 분명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 글
'생활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및 사용법 알아보기 (0) | 2020.07.04 |
---|---|
해피콘 모바일 쿠폰 사용처 및 유효기간 연장 (0) | 2020.07.03 |
신한생명 무료운세 (0) | 2020.05.21 |
가까운 현대자동차 직영 서비스센터 예약방법, 전화번호, 위치 안내 (0) | 2020.05.20 |
1분도 안 걸리는 개인통관 고유부호 조회 (0) | 2020.05.14 |
이 글을 공유하기